미래 의·과학 융합연구모델 선도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유니스트)과 지난 6일 오후 유니스트 본관에서 '우주 방사선 의학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두 기관은 바이오 메디컬·우주 방사선 의학·인공지능(AI) 등 의·과학 융합 분야 공동연구, 연구인력 교류와 학생 인턴십을 비롯한 실습 프로그램 운영 등에 나서기로 했다. 또 장비·정보 교류, 학술행사 공동 개최, 방사성 의약품·첨단재생의료 기술 상용화,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의료서비스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 방사선 의생명·물리 연구 인프라와 의료 데이터에 유니스트의 로봇공학 및 우주과학 기술력을 결합해 우주 방사선 의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두 기관은 우주 환경에서의 인체 방사선 영향 예측과 방사성 의약품 연구를 비롯한 첨단 융합 연구를 공동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병원~대학~연구소 간 체계적인 연구개발·기술상용화 생태계를 꾸리고 미래 의·과학 융합 연구의 선도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창훈 의학원장은 "의학원에는 인공지능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의료진이 많으며 방사선 의학 연구 인프라도 풍부하다"며 "유니스트의 우수 연구진과 협업해 AI를 접목한 우주 방사선 의학 연구와 의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겠다. 내실 있는 성과를 도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니스트 박종래 총장은 "우주 연구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인간 중심의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두 기관이 학생 의·과학 인턴십과 의료진 AI 교육 등 직접적이고 장기적인 교류에 돌입할 것이다. AI 기술을 접목한 우주 방사선 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 연구를 비롯해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적극 발굴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의학원과 유니스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으로 설립 시기와 지역적 인접성을 바탕으로 이전부터 협력을 이어왔다. 의학원은 유니스트 내 클리닉 개소와 함께 전문의를 통해 의·과학 강의를 지원했으며 유니스트는 의학원에 AI 관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의료계 AI 과제 발굴을 도운 바 있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