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안정성과 신용가치...정부·기업·사회 역할 분담 강조

25일 서울 송파구 롯데시네마에서 파이낸셜뉴스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개최한 'AI월드 2025'의 '책임있는 AI'를 주제로 한 좌담에서 문정욱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디지털사회전략연구실 실장은 "AI확산과 함께 데이터 편향, 알고리즘 차별, 안전성 부족 문제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며 "혁신과 규제, 산업 진흥과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시행을 앞둔 인공지능기본법 관련 정부 준비 상황도 소개했다.
박계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정책협력법무실 전무는 기업의 대응 체계를 강조했다.
곽준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AI신뢰성센터 AI신뢰성기술팀장은 국제 협력 필요성을 언급하며 "AI 확산의 전제 조건은 안전과 신뢰"라며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국제 표준화가 뒤처지고 있다"고 실상을 지적했했다.
토론에서는 정부·기업·사회가 각각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문 실장은 "AI 신뢰와 안전이 전제되지 않으면, 사회적 수용 자체가 어렵다"고 했고, 박 전무는 "정부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팀장은 "윤리 원칙과 바카라사이트 총판 승리바카라 리터러시 확산이 결국 시장의 자율적 수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책임있는 바카라사이트 총판 승리바카라의 실현방향을 제시했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