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가족, 지인, 이웃들에게 별명을 붙여 부르는 아내 때문에 다퉜다는 30대 남성의 사연이 알려졌다.
지난 19일 JTBC '사건반장'에서 30대 새신랑 A 씨는 신혼 초부터 아내와 삐걱댔다고 토로했다. A 씨에 따르면 직장동료였던 아내와 결혼 발표를 하자 다른 동료들은 "네가 아내의 성격을 감당하겠냐"며 만류했다.
아내는 소심한 성격으로 작은 일에도 금세 기분이 상했지만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은근히 티 내는 성격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분이 좋을 때는 남편을 '내 사랑' '반쪽이'로 저장해두고 어느 날에는 '메아리'라고 저장했다.
아내는 남편에게만 별명을 붙이는 게 아니라 직장동료들도 별명을 붙여 불렀다. 밥값을 잘 안 내는 동료는 '밥도둑', 입이 가벼운 사람은 '촉새' 이런 식이었다. 아파트 이웃들도 '족제비' '코끼리' '파리' 등으로 불렀다.
문제는 별명이 상대의 귀에 들어가 곤란한 상황이 생긴 적도 있다는 점이다. 경비원에게 무심코 '너구리 아저씨'라고 말실수를 했다.
A 씨는 "그러다 싸움 날 수도 있다. 진짜 제발 별명 좀 붙이지 말라"고 이야기해 봤지만 "이름보다 별명으로 불러야 입에 쫙 붙는다"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어느 날 아내에게 '들었다 놨다'라는 사람에게 전화가 왔다. "누구냐"고 묻자 당황한 아내는 "친군데 안 받아도 된다"고 했다. 잠시 후 A 씨에게 전화를 건 어머니는 "방금 내가 며느리한테 전화했는데 안 받더라"고 말했다.
통화를 끝내고 A 씨가 "'들었다 놨다'가 우리 엄마냐"라고 묻자 아내는 그제야 실토했다. 아내는 "얼마 전에 어머니가 장을 보러 갔는데 물건을 자꾸 들었다 놨다 하길래 그렇게 저장했어. 미안해. 바꿀게"라고 했다.
그런가 하면 얼마 전에는 시어머니를 '찡찡이'라고 저장한 일이 발각되기도 했다. 발목 수술을 한 시어머니가 아프다고 말한 것을 두고 이같이 저장해놓은 것.
얼마 전 장모와 함께 식사하던 A 씨는 아내와 장모가 나누던 대화를 듣고 이 사실을 알게 됐다. A 씨가 휴대전화를 보느라 고개를 숙이고 있는데 당시 아내와 대화를 나누던 장모님이 "찡찡이가 밥 사줬다며?"라고 이야기했다.
순간 무슨 말인가 싶어 고개를 들자 아내와 장모가 당황해 얼굴이 하얗게 질려 있었다. A 씨가 "장모님 설마 우리 엄마 얘기하시는 거냐"라고 묻자 당황해서 말을 잇지 못했고, 아내가 대신 "오빠 미안해"라고 사과를 했다.
A 씨는 "속상한 건 신혼집 전세금도 어머니가 지원해 주시고 평소 반찬이랑 며느리 용돈도 챙겨줬다. 아내도 앞에선 '어머님, 감사해요' 하더니 뒤에선 조롱하는 듯한 모습에 화가 났다"라고 토로했다.
이후 A 씨가 아내의 사과를 받아주지 않고 차갑게 대하자 아내는 "도대체 언제까지 사과해야 하냐. 당신은 모르지만 어머니 비위 맞추는 게 얼마나 힘든데. 스트레스 풀려고 그런 거다. 그래서 뭐, 이혼이라도 해줄까?"라며 적반하장 태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박상희 심리학 교수는 "수동 공격적인 의사소통이다. 불만이나 분노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돌려서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거다. 상대방의 신뢰를 없애고 혼란을 준다.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걸 꼭 배워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