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 것

파이낸셜뉴스 2025.11.24 18:26 수정 : 2025.11.24 18:26기사원문



"은행의 돈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 "어려운 소상공인들이 죽도록 일해 번 돈을 고스란히 대출 원리금 상환에 갖다 바치는 현실이 마치 은행의 종노릇을 하는 것 같다."

지난 2023년 2월 수석보좌관회의와 같은 해 10월 국무회의에서 나온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발언들이다. 이후 은행들은 '땅 짚고 헤엄치기'로 많은 돈을 벌고, 성과급 잔치나 벌이는 집단으로 비쳤다.

이재명 대통령의 은행에 대한 인식도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 9월 국무회의에서 "어려운 사람 대출이 더 비싸다. 가장 잔인한 영역이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영역 같다"고 했고, 이달 수석보좌관회의에서는 "현재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제도는 가난한 사람이 비싼 이자를 강요받는 등 이른바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계급제'가 된 것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사실 서민들에 대한 채무탕감이나 신용사면 등은 역대 정부에서 단골로 등장했던 '선심성' 정책이다. 배드뱅크가 대표적이다. 노무현 정부는 한마음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이명박 정부는 신용회복기금, 박근혜 정부는 국민행복기금이라는 이름표를 각각 달았다. 지금의 새출발기금과 이름만 다를 뿐, '서민들의 빚을 줄여준다'는 핵심 내용은 한결같다.

문제는 정책의 부작용도 서로 닮았다는 점이다. 선심성 정책이 20년 넘게 지속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에게 '돈을 갚지 않고 어떻게든 버티다 보면 정권이 바뀐 뒤 빚을 탕감해줄 것'이라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줬다. "채무탕감을 받았던 사람이 다시 채무조정 대상자가 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한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권 관계자의 증언이다. 그 결과 열심히 일해서 빚을 갚은 성실상환자들이나 철저하게 신용관리를 해온 고신용자들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고신용자가 이자를 더 부담해 저신용자에게 싸게 빌려주자"는 이 대통령의 제안에 공감하면서도 우려가 앞서는 이유다. 서민을 위한 '선의의' 상생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이 또 다른 서민들에게 고통을 줄 수 있어서다.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권에서는 '저소득자=저신용자'라는 공식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신용평가가 부채 상환이력이나 부채 수준, 신용거래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이뤄지기 때문이다.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실에 따르면 소득 상위 30% 가운데 고신용자(신용점수 840점 이상)는 674만명, 소득 하위 30%에 들어가면서 고신용자는 202만명에 달한다. 또 저신용자(신용점수 664점 이하) 중에서 고소득자(43만명)가 저소득자(34만명)보다 많다.

실제로 지난 9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주요 은행에서는 가계대출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포용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을 강조하는 정부 기조에 따라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상품에 우대금리, 낮은 가산금리 등 각종 혜택을 줬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금리 역전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 '이자장사'라는 정부의 강한 압박과 비판에 5대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지주는 향후 5년간 약 70조원을 포용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에 투입하기로 했다.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거래에서는 신용이 제일 중요하다. 신용도에 따라 은행 등에서 빌려주는 돈의 크기와 그 대가(이자)가 달라진다.'

그간 신용에 대해 배운 교과서적 설명이다. 신용도가 낮은 사람은 높은 이자에, 신용도가 높은 사람은 낮은 이자에 돈을 빌리는 게 당연한 이치다. '약자를 돕는다'는 취지에는 200% 공감한다. 이를 통해 소득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약자에게 경제적 기회를 넓혀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의도가 좋다 해도 기본적인 시장 원리나 금융시스템을 왜곡시켜서는 안 된다.


금융의 문제는 금융시스템 안에서 풀어야 한다. 금융에 정치를 덧대면 지금까지 쌓아온 우리 사회의 근간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 빚에 허덕이며 고통받는 서민도, 새벽부터 밤까지 일하며 차근차근 빚을 갚아 나가는 서민도, 모두 정부가 품어야 하는 '금융취약계층'이다.

blue73@fnnews.com

Hot 포토

많이 본 뉴스